분류 전체보기 16

SNS 청소년 부적절 콘텐츠 확산 문제

최근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의 각종 SNS를 통해 음란성, 폭력성, 혐오성 게시물 등 청소년이 보기에 유해하고 부적절한 콘텐츠를 접하기 더 쉬워졌습니다. 성장기 청소년이 이러한 강간, 살인 등의 범죄를 미화한 부적절한 콘텐츠에 지속적으로 노출된다면 그것이 범죄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멋진 행위, 체면을 살리는 행위라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 줄 수 있고 이는 청소년 범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부적절한 콘텐츠의 확산 사례로는 첫 번째로 다수의 청소년이 유해 콘텐츠를 본 적이 있다는 설문 결과가 있습니다. 서울대 산학협력단이 전국 청소년 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최근 1년 이내에 폭력적인 내용을 본 적이 있다고 대답한 청소년은 전체의 79%였고, 선정적인 콘텐츠를 본 적이 있다고 대답..

아동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

미디어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아동에게 미치는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들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스마트폰과 미디어 과의존 현상 연령이 점점 내려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미디어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환경이기에 아이들과 부모 또한 의존성이 점점 높아질 수밖에 없고 성인보다 자제력과 조절 능력이 부족한 아이들에게 과의존 현상은 당연한 결과일 것입니다. 두 번째는 뇌 발전을 저하합니다. 아이들이 잘 발달하기 위해서는 좌뇌와 우뇌의 균형이 중요한데 미디어의 현란하고 강한 자극은 우뇌의 발달을 저해합니다. 우뇌의 발달이 저해되면 ADHD, 틱장애, 비언어적 학습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아이들의 사회성 문제입니다.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사회성을 배우는데 과도한 미디어와 스마트폰 사용 시간으로 인하여 영유..

필터 버블

미디어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필터 버블이 있습니다. 필터 버블이란 이용자의 관심사에 맞춰 필터링된 인터넷 정보로 인해 편향된 정보에 갇히는 현상입니다. 필터 버블은 스스로 생각하고 선택하는 행위를 덜 하게 됨으로써 판단력이 흐려질 수 있게 하고 선호하는 것만 노출하는 알고리즘 때문에 편협한 정보에 갇힐 수 있게 합니다. 또 필터 버블에 의해 모두가 개인 맞춤형 정보만을 보고 듣고 소비하게 되면서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 믿는 확증 편향에 쉽게 빠질 수 있습니다. 정치 사회 문제에서는 고정 관념과 편견을 강화하고 이는 좀 더 입맛에 맞는 게시물만 가지고 오며 악순환을 불러일으킵니다.

미디어의 긍정적인 영향

미디어의 긍정적인 영향입니다. 첫 번째로는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정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그것을 계기로 집단 형성을 돕습니다. 또, 집단이 조직화되었을 때 그 조직을 표현할 수 있는 매개로 사용됩니다. 두 번째로는 문화를 기록으로 남길 수 있게 돕습니다. 문화라는 것은 그것이 전달과 전파가 되어야만 문화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그것을 바로 매스 미디어가 하는데 미디어의 발달은 곧 문화의 발달과도 같게 됩니다. 세 번째는 오락을 제공합니다. 많은 칼럼과 영화 등은 오락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어 일상 문제로부터 탈피해 휴식을 제공하고 여가 시간을 메꾸어 줍니다. 또 미디어는 수많은 사람들을 대중 미술과 음악에 노출시켜 예술에 있어 공중의 취향을 향상시킵니다. 그 외에도 환경 감시를 합니다. 정보를 ..

주제 선정 동기

저희는 코로나19로 인해 미디어 매체 사용량이 증가하였다는 한 뉴스 기사를 접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궁금해서 '미디어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찾아보니 기존보다 부정적인 영향의 사례가 긍정적인 영향의 사례보다 증가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때문에 부정적인 영향을 중심으로 해결 방안과 함께 고민해 보며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동기 2021.05.21